# 홈팀 : 고양 소노 스카이거너스(9승17패)
고양소노는 직전경기(1/5) 원정에서 창원LG 상대로 64-67 패배를 기록했으며 이전경기(1/3) 원정에서 서울SK 상대로 70-78 패배를 기록했다. 2연패 흐름 속에 리바운드(39-36), 3점슛(5개 -8개), 턴오버(10-5)의 결과. 디제이 번즈(10득점), 민기남(10득점)이 분전했지만 이정현, 김진유, 이근준, 정희재가 2경기 연속 동시에 결장한 공백이 크게 나타난 경기. 이재도의 야투 침묵 속에 2,3쿼터에 상대의 변화 된 수비를 뚫지 못한 것이 결국 문제가 되었고 26%의 낮은 팀 3점슛 성공률에 그쳤던 상황. 정규시즌 홈경기에서는 3연승 흐름 속에 5승7패 성적.
# 원정팀 : 부산 KCC 이지스(10승16패)
부산KCC는 직전경기(1/6) 원정에서 서울삼성 상대로 72-86 패배를 기록했으며 이전경기(1/4) 홈에서 원주DB 상대로 86-88 패배를 기록했다. 안양 정관장 상대로 4연패에서 벗어나는 승리가 나왔지만 연승 없이 다시금 5연패에 빠졌으며 리바운드(39-40), 3점슛(2개 -10개), 턴오버(8-11)의 결과. 이호현(18득점), 이승현(10득점, 9리바운드), 디온테 버튼(18득점)이 분전했지만 최준용, 송교창, 정창영에 이어서 허웅 까지 추가적으로 이탈한 공백이 크게 나타난 경기. 승부처 외국인 선수 매치업에서도 밀렸으며 팀 3점슛 성공률(9.5%, 2/21)이 바닥을 쳤던 상황. 정규시즌 원정경기에서는 3연패 흐름 속에 5승7패 성적.
# 상대전 특징
올시즌 2차전 맞대결에서는 부산KCC가 (12/1) 원정에서 74-67 승리를 기록했다. 리바운드(38-33), 3점슛(7개 -12개), 턴오버(9-10)의 결과.
올시즌 1차전 맞대결에서는 고양소노가 (10/22) 원정에서 79-69 승리를 기록했다. 리바운드(43-21), 범실(7-10), 3점슛(6개 -7개)의 결과.
# 베팅추천
고양 소노는 타고난 리바운드 능력은 물론 슈팅, 패스 등 코트 위에서 모든 역할을 수행할수 있는 캠바오를 새로운 아시아쿼터 선수로 영입했고 김진유를 제외한 이정현, 정희재, 이근준의 몸상태가 많이 회복 되었다. 최준용, 송교창, 정창영에 이어서 허웅 까지 이탈한 부산KCC의 고전이 예상된다.
◎ 가능성이 높은 선택 =>고양 소노 스카이거너스 승리
◎ 배당을 노리는 선택 =>승5패 구간5
# 홈팀 : 서울삼성(8승17패)
서울 삼성은 직전경기(1/6) 홈에서 부산 KCC 상대로 86-72 승리를 기록했으며 이전경기(1/4) 홈에서 대구 한국가스공사 상대로 77-114 패배를 기록했다. 2연패에서 벗어나는 승리가 나왔으며 리바운드(40-39), 3점슛(10개 -2개), 턴오버(11-8)의 결과. 코비 코번, 마커스 데릭슨이 골밑을 사수하는 가운데 최현민(16득점)이 고비때 마다 코너에서 3점슛(5/7)을 폭발시킨 경기, 최성모(14득점, 10어시스트), 저스틴 구탕(14득점), 이정현(11득점)의 야투도 지원 되었으며 탄탄한 수비와 정확한 외곽포를 앞세워 분위기를 끌어올렸던 상황. 또한, 이원석을 비롯한 토종 포워드 자원들이 제공권 싸움과 루즈 볼 다툼 등 보이지 않는 곳에서도 많이 움직여주는 긍정적인 변화가 나타났다. 정규시즌 홈경기에서는 3승9패 성적.
# 원정팀 : 창원LG(14승12패)
창원LG는 연속경기 일정이였던 직전경기(1/5) 홈에서 고양 소노 상대로 67-64 승리를 기록했으며 이전경기(1/4) 원정에서 울산 현대모비스 피버스 상대로 64-85 패배를 기록했다. 2연패에서 벗어나는 승리가 나왔으며 리바운드(36-39), 3점슛(8개 -5개), 턴오버(5-10)의 결과. 아셈 마레이가 결장했지만 대릴 먼로(13득점, 7어시스트, 12리바운드)가 골밑을 장악하는 가운데 부상 복귀전을 치른 아시아쿼터 선수 칼 타마요(17득점)가 내외곽을 넘나들며 해결사가 되었던 경기. 골밑이 안정되자 토종 선수들의 시너지 효과가 나타났고 수비에서의 집중력이 살아났으며 유기상(13득점)이 백코트 싸움에서 힘을 냈던 상황. 정규시즌 원정경기에서는 5승7패 성적.
# 상대전 특징
올시즌 1차전 맞대결에서는 창원LG가 (12/17) 홈에서 90-76 승리를 기록했다. 리바운드(32-43), 3점슛(8개 -9개), 턴오버(10-8)의 결과.
올시즌 1차전 맞대결에서는 서울 삼성이 (11/7) 홈에서 80-79 승리를 기록했다. 리바운드(35-27), 범실(11-7), 3점슛(8개 -10개)의 결과.
# 베팅추천
창원LG는 아셈 마레이(4주)의 일시 대체 외국 선수로 2023년 여름 윌리엄 존스컵에서 정관장 소속으로 뛴 경력이 있는 브라이언 그리핀(203cm)를 발쁘르게 영입했다. 하지만, 아셈 마레이의 공백은 크게 나타날수 밖에 없고 9일 삼성과 경기를 시작으로 7일 동안 4경기를 소화해야 하는 강행군을 치러야 하기에 식스맨들의 출전 시간도 늘리는 선수 운영이 필요하다. 골밑 싸움에서 코비 코번이 힘을 낼것이며 칼 타마요의 위력을 반감시킬수 있는 이원석의 활약도 기대가 되는 경기
◎ 가능성이 높은 선택 =>서울삼성 승리
◎ 배당을 노리는 선택 =>승5패 구간5
# 홈팀 : BNK썸(13승4패)
BNK썸은 직전경기(1/5) 홈에서 하나은행 상대로 67-41 승리를 기록했으며 이전경기(1/3) 원정에서 KB스타즈 상대로 60-70 패배를 기록했다. 리바운드(42-30), 3점슛(7개 -4개), 턴오버(14-16)의 결과. 연습 도중 부상을 당한 박혜진이 결장했지만 승부처를 지배한 김 소니아(13득점), 이소희(14득점), 심수현(10득점)의 야투가 함께 터진 경기. 수비로 상대의 공격 기회를 무산시켰고, 확률 높은 공격으로 착실히 점수를 쌓으며 점수 차이를 벌렸던 상황. 또한, 탁월한 사이드스텝과 안정적인 스탠스로 상대 공격수를 효과적으로 제어한 아시아 쿼터로 영입한 이이지마 사키(13득점)가 수비뿐 아니라 공격에서도 높은 존재감을 보여줬던 승리의 내용. 정규시즌 홈경기에서는 3연승 흐름 속에 7승1패 성적.
# 원정팀 : 신한은행(6승11패)
신한은행은 직전경기(1/6) 원정에서 삼성생명 상대로 65-62 승리를 기록했으며 이전경기(1/2) 원정에서 하나은행 상대로 56-58 패배를 기록했다. 최근 4경기 3승1패 흐름 속에 리바운드(38-31), 3점슛(10개 -7개), 턴오버(17-18)의 결과. 최이샘(12득점)이 부상에서 돌아오는 호재가 있었고 이경은(13득점, 3점슛4개), 신이슬(12득점, 3점슛 4개)이 백코트를 장악한 경기. 쓰리가드 시스템을 이용한 변형 된 지역 방어로 상대의 공격을 차단했으며 홍유순(9득점,6리바운드)이 타니무라 리카(9득점)를 도와서 팀 리바운드 싸움에서 판정승을 이끌어 낸 상황. 정규시즌 원정경기에서는 2승7패 성적.
# 상대전 특징
올시즌 3차전 맞대결에서는 BNK썸이 (12/9) 원정에서 68-64 승리를 기록했으며다. 상대전 4연승 흐름 속에 리바운드(37-43), 3점슛(10개 -5개), 턴오버(6-12)의 결과.
올시즌 2차전 맞대결에서는 BNK썸이 (11/16) 홈에서 46-38 승리를 기록했다. 리바운드(43-47), 범실(11-11), 3점슛(5개 -6개)의 결과.
올시즌 1차전 맞대결에서는 BNK썸이 (11/9) 원정에서 77-57 승리를 기록했다. 리바운드(45-32), 범실(5-11), 3점슛(9개 -2개)의 결과.
# 베팅추천
BNK썸이 상대전 4연승을 기록할수 있는 힘이 되어준 리바운드에서 우위를 바탕으로 더 많은 공격기회를 부여 받을 것이다. 또한, 국가대표 백코트 조합의 위력도 나타날 것이며 박혜진의 복귀도 예상된다.
◎ 가능성이 높은 선택 =>BNK썸 승리
◎ 배당을 노리는 선택 =>승5패 구간5
'스포츠 분석 > 농구 분석'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부산KCC VS서울삼성, 수원KT VS창원LG, KB스타즈 VS삼성생명 농구 분석 1월13일 (0) | 2025.01.13 |
---|---|
삼성생명VS하나원큐, 대구한국가스공사VS 원주DB, 서울SK VS울산모비스 농구 분석 1월10일 (1) | 2025.01.10 |
울산모비스VS안양정관장, 우리은행VS KB스타즈 농구 분석 1월8일 (0) | 2025.01.08 |
히로시마드래곤 VS산미구엘, 뉴타이베이킹스VS류큐골든킹스 동아시아슈퍼리그 1월8일 (0) | 2025.01.08 |
서울SK VS 대구한국가스공사 농구 분석 1월7일 (1) | 2025.01.07 |